반응형
여성가족부와 고용노동부는 2025년 4월 17일,
‘경력단절여성 중심 지원 정책’을 넘어 전 생애주기 여성 모두를 아우르는 새로운 경제활동 지원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 핵심 키워드 ①
💬 “경단녀만이 아닌, 모든 여성에게”
기존에는 출산·육아 등으로 경력단절을 겪은 여성 중심의 지원이었지만,
이번 **제4차 기본계획(2025~2029)**은 다음과 같은 전환점을 담고 있습니다.
✅ 청년 → 중장년 → 고령 여성까지 생애주기별 맞춤 지원
✅ 경력단절 예방부터 창업, 재취업, 돌봄 지원까지 전반 강화
✅ 여성경제활동 확대 = 지속가능한 사회의 성장 동력
🧭 추진 목표: 2대 중점 방향
- 생애주기별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
- 일과 생활의 균형을 통한 지속가능한 근로환경 조성
👩🔬 청년 여성, 미래 신산업으로의 진출 지원
- 🔹 IT·로봇·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 직업훈련 확대
- 🔹 대학 새일센터 연계 맞춤형 취업훈련 운영
- 🔹 강소기업 직업교육훈련, 혁신융합대학 연계
- 🔹 ‘첨단산업인재혁신법’에 따른 여성인재 실태조사 최초 시행
👵 중·고령 여성 등 다양한 계층 확대 지원
- ✅ 온라인+오프라인 혼합 직업훈련 확대
- ✅ 새일센터 직업교육훈련 참여촉진수당 신설
- ✅ ‘새일여성인턴’ → 정규직 전환 기업 지원금 확대 (1인당 400만 원)
- ✅ 한부모·결혼이민 여성, 건설업 여성 기능인 양성 등 포괄
💼 생애주기별 맞춤 경력 설계
- 🌱 출산·육아 시기, 이·전직 및 재진입 지원 확대
- 🌱 지역 특화 일자리(농촌 등) 발굴
- 🌱 퇴직연금 가입 확대, 노후 대비 기반 마련
⚖️ 경력단절 예방 +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
- ✅ 새일센터 경력단절 예방서비스 전국 159곳으로 확대
- ✅ 건강 상담 및 근로자건강센터 연계
- ✅ 가족친화 인증기업 확대, 아이돌봄 국가자격제 도입
- ✅ 중소기업 재정지원(대체인력, 업무분담 등) 강화
🏢 여성 경제활동 기반 조성
- 📍 전국 새일센터 체계화(중앙-광역-지역 기능 분담)
- 📍 ‘이(e)새일 시스템’과 ‘고용24’ 정보 연계 강화
- 📍 매년 ‘경력단절 예방주간’ 운영 및 ‘일·생활 균형지수’ 지속 산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