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건소 치과의료인력이 가정으로!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2025년 4월부터 전국 29개 시군구 보건소에서 거동이 불편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방문 구강건강관리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구강 건강은 단순히 치아 건강을 넘어 전신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노인들은 치과 방문이 쉽지 않아 꾸준한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범사업 주요 내용
- 대상: 65세 이상, 일상생활동작(ADL) 3가지 모두 어려운 노인
- 서비스 기간: 2025년 4월 ~ 10월 (7개월간)
- 방문 주체: 보건소 소속 치과의사·치과위생사
- 서비스 내용:
- 구강 상태 평가 및 맞춤형 구강관리계획 수립
- 칫솔질 교육, 치실 사용법, 혀 운동, 구강 체조, 구강건조 예방
- 불소도포, 구강 위생 상담 등 예방적 처치
- 군 분류:
- 관리군: 치아·치주질환 문제 보유 시 3개월 집중 관리
- 일반군: 문제 없을 경우 연 1회 교육 중심 방문
참여 지자체 현황 (총 29개소)
구분 | 참여 지자체 |
---|---|
서울 | 종로구, 용산구, 성동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노원구 |
광주 | 북구, 광산구 |
경기 | 일산서구, 오산시, 용인기흥구, 안성시, 여주시 |
강원 | 강릉시, 홍천군, 횡성군 |
충북 | 진천군 |
충남 | 서천군, 예산군 |
전북 | 김제시, 완주군, 순창군 |
전남 | 영암군, 장성군 |
경북 | 청송군, 예천군 |
경남 | 사천시, 남해군 |
기대 효과
- 치과 방문이 어려운 노인에 대한 구강건강 사각지대 해소
- 지역 의료·돌봄 통합 지원과의 연계
- 구강위생 및 기능 개선을 통한 전신 건강 증진
- 지역별 맞춤형 모델 개발 및 전국 확대 기반 마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