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50

2025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방법 총정리 원거리 대학에 진학한 저소득 대학생이라면 월 최대 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주거안정장학금을 꼭 확인하세요! 지금부터 신청자격, 일정, 제출서류 등 모든 내용을 상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신청 일정 및 기간신청기간: 2025년 5월 23일(금) 9시 ~ 6월 23일(월) 18시서류제출: 2025년 5월 23일(금) ~ 6월 30일(월) 18시가구원 동의: 위 서류제출 기간과 동일선발 결과 발표: 10월 4주~5주 예정✅ 지원 대상대한민국 국적의 대학 재학생 (대학원생 제외)만 39세 이하(‘85.1.1. 이후 출생)이며 미혼자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으로 확인된 자부모 모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소속 대학과 통학이 어려운 원거리 지역에 해당하는 자소속대학이 장학금 참여 대학일 것💸 지.. 2025. 6. 9.
챗GPT·AI·빅데이터까지! 2025년 STEP 패키지 과정 수강생 모집 디지털·신기술 시대, 이제는 직업훈련도 스마트하게!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에서 운영하는 ‘스텝(STEP)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이 2025년 더욱 확대되어 돌아왔습니다.수강 신청 기간: 2025년 6월 2일 ~ 6월 15일학습 기간: 6월 16일부터 10주간 진행💡 STEP 패키지 과정이란?이론 + 실습을 결합한 맞춤형 학습 과정분야별 과목들을 패키지로 구성해 연계 학습 로드맵 제공무료 수강 가능! 회원가입만 하면 누구나 이용 가능🧠 2025년 신설 과정 (디지털 · 신기술)✔ 챗GPT 개발 및 활용✔ 태양광발전설비 이론과 실습✔ IoT 인프라 및 시스템 운영✔ 정보보안관리→ 총 16개 과정, 54개 과목으로 대폭 확대 운영🔧 일반 직무역량 과정도 추가!✔ 산업안전보건관리✔ 전기자동차 이.. 2025. 6. 6.
자동차등록도 이제 모바일로! 6월 9일, 차세대 시스템 정식 오픈 이제 자동차 등록도 무서류 · 모바일 · 전자문서지갑으로 간편하게!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2025년 6월 9일부터 차세대 자동차관리정보시스템을 정식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기존 '자동차365'와 '대국민포털'로 나뉘어 있던 서비스를 ‘자동차365’로 통합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새롭게 개편해 편의성과 안정성을 크게 높였어요.📌 무엇이 달라졌나요?📱 PC 뿐 아니라 모바일 · 태블릿에서도 간편 이용📄 자동차등록 민원 무서류 처리 가능 (전자서식으로 대체)📂 10종 민원서류 전자문서지갑 발급예: 자동차등록증, 자동차등록원부, 말소등록사실증명서 등🔐 간편인증 · 휴대폰 본인인증 도입 → 공동인증서 없이도 로그인💳 전자결제 도입 → 신용카드, 휴대폰 등으로 민원비용 납부📂 발급 가능한 민원서류.. 2025. 6. 6.
2025년 에너지바우처 신청, 6월 9일부터 시작! 폭염과 한파에 대비해 취약계층에게 냉·난방 에너지를 지원하는 2025년도 에너지바우처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신청 기간: 2025년 6월 9일(월) ~ 12월 31일(수)신청 방법: 거주지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에너지바우처란?에너지바우처는 에너지 취약계층이 여름·겨울철 냉난방비 부담 없이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에너지 이용권(바우처) 형태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어요:① 기초생활수급자 가구일 것② 아래 해당 세대원이 포함된 가구일 것✔ 노인 (만 65세 이상)✔ 장애인✔ 영유아 (만 7세 이하)✔ 임산부✔ 중증·희귀·난치 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 위탁아동 포함💳.. 2025. 6. 5.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대한민국 산림녹화기록물’을 아시나요? “나무 한 그루가 숲을 이루고, 숲은 나라를 바꾼다.” 대한민국은 6.25 전쟁 이후 전 국토의 64%가 헐벗은 황무지였던 시기를 지나 전 세계가 인정한 녹색 성공신화를 만들어냈습니다.그 과정을 담은 산림녹화기록물이 바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대상이자 대한민국이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문화자산입니다.📌 산림녹화기록물이란?6.25 전쟁 이후 황폐해진 산림을 복원한 산림녹화사업의 전 과정을 담은 기록물정부와 국민이 함께한 협력적 민·관 거버넌스의 성과기후위기, 사막화 방지에 활용 가능한 지속가능발전 기록유산📂 기록물의 형태는 다양해요공문서, 사진, 필름, 포스터, 우표, 수기 등9619건의 기록이 남아 있음중앙정부: 2,157건지자체: 4,012건산림조합: 1,232건개인 기록: 1.. 2025. 6. 5.
6월 5일, 제1회 ‘국악의 날’! 전국에서 국악을 즐겨보세요 2025년 6월 5일, 우리나라 전통음악을 기념하는 ‘제1회 국악의 날’이 처음으로 지정됐습니다.문화체육관광부는 국악진흥법 제정을 계기로 6월 5일을 ‘국악의 날’로 지정하고, 5일부터 30일까지를 ‘국악 주간’으로 운영합니다.전국 곳곳에서 전통 국악의 가치와 즐거움을 나누는 특별한 문화행사들이 펼쳐집니다!📌 왜 6월 5일인가요?세종실록 116권에 ‘여민락(與民樂)’이 처음 기록된 세종 29년 6월 5일(음력)을 기념→ ‘국민과 함께 즐긴다’는 국악 정신을 상징하는 날로 선정🎼 여민락: 백성과 함께 즐긴다는 의미의 세종대왕 창작 궁중음악🌿 ‘국악의 날’ 상징 이미지도 공개!해와 산은 자연과 어우러진 국악의 특성 표현대금, 가야금, 상모, 태극문양 소고 등 국악 구성요소 형상화매년 국악 주간 홍보에 .. 2025. 6. 5.
반응형